본문 바로가기

휴가3

법정 휴가 종류 뭐가 있을까? | 간단하게 정리 법정 휴가 종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휴일 또는 휴가를 ‘법정 휴가’라고 합니다. 아마 휴가철이 되다 보니 많은 분이 유급 휴일을 보낼 수 있을지 관심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 종류와 뜻까지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정 휴가 알아보자 1) 근로자의 날 (매년 5월 1일)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법정 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올해는 이미 지나갔지만, 법적으로 유급으로 쉴 수 있는 날입니다. 각국 노동자들의 열악한 조건 개선, 지위를 향상하기 위해 연대의식을 위한 법정 기념일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달력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근로기준법에 적용받는 노동자들이라면 유급으로 쉴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 특고, 플랫폼 노동자 등 기준법 해당하지 않으면 대상 아.. 2022. 7. 25.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신청방법 정리 | 필요 서류는?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신청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염병 확산에 따른 휴원, 휴교로 가족돌봄휴가를 썼다면 정부로부터 일정 비용을 받을 수 있는데요. 만약 가족이 감염되어 휴가를 쓰신 분들이 있다면 오늘 포스팅 꼭 주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드리도록 할게요. ■ 가족돌봄휴가란? 질병, 사망, 사고, 노령, 자녀 양육 등의 이유로 가족을 돌봐야 하는 상황이라면, 근로자는 연간 최대 10일 휴가(무급)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가족 범위는 조부모, 부모, 배우자, 배우자 부모, 자녀, 손자녀까지 해당합니다. (남녀고용평등법) 가족돌봄휴가는 연간 90일까지 쓸 수 있는 가족돌봄휴직(가족을 장기적으로 돌봐야 할 때 신청하는 휴직)기간에 포함되는데요. 그렇기에 최대 10일까지 쓸 수 있고, 1일.. 2022. 3. 22.
유급휴일 뜻, 종류 5가지는? | 근로자가 꼭 알아야할 상식 유급휴일 뜻과 종류에 대해 정리해 드릴까 합니다.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하는 내용이기도 한데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사람은 유급휴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주휴수당, 연차 휴가, 출산 전후 휴가 등 여러 종류가 포함됩니다. 아마 이 부분에 대해 한 번씩 들어보셨을 거로 생각해요. ◆ 유급휴일 뜻 먼저 기본적인 의미부터 알려 드리겠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급여가 지급되는 휴일입니다.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해야 받을 수 있는데요. 법적으로 규정된 종류를 살펴보면 주휴수당, 연차 유급휴가, 출산 전후 휴가, 대체 공휴일, 근로자의 날이 있습니다. 또한, 회사 내부적인 규칙에 따라 별도의 휴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유급휴일 종류 5가지 1) 주휴수당 일주일.. 2022.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