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된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주분들과 근로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하는 사항입니다. 2021년 11월 19일부터 근로기준법이 바뀌어 근로자에게 급여명세서를 필수로 주어야만 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정규직을 포함하여 계약직,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가 모두 해당하죠. 만약 지키지 않는다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도 있다고 하니 의무화된 사항 숙지하셔서 벌금 맞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내용"
◆ 언제 입금지급분부터 해당하나?
11월 19일 이후 임금 지급분부터 해당합니다.
◆ 어떻게 명세서를 주어야 하나?
서면, 문자메시지, 이메일, 모바일 메신저 등 원하는 방법으로 교부할 수 있습니다. 고용주가 인쇄물로 나눠줄 수 있고, 전자문서로도 전송할 수 있다는 거죠.
◆ 어떤 서식을 이용해야 할까?
특별히 정해진 서식은 없습니다만, 아래의 필수 기재 사항이 본문에 들어가야 합니다.
※ 필수 기재 사항
- 성명, 생년월일, 사원 번호 등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 임금 지급일, 임금의 총액수
- 기본급, 수당, 상여금, 성과금 등 구성항목 별 금액 (통화 이의 것으로 지급되는 것이 있다면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도 적어야 합니다.)
- 출근한 일수, 근로 시간 수 등에 따라 달라지는 급여의 구성 항목별 계산 방법 (야간 근무나 휴일, 연장 등을 했을 경우 각각 근무 시간에 대한 것도 포함)
- 임금 일부를 공제했을 때 공제 항목별 액수와 총금액 등 공제 내역이 있어야 합니다.
*작성 예시에 대하여 알아보자
- 교부 문서일 경우
- 모바일 문자 메시지 예시
◆ 명세서 만드는 쉬운 방법 (개인, 단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임금 명세서 만드는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게 만들어졌기에 힘들게 다른 곳에서 양식을 찾아다니실 필요가 없습니다. 기업에서 쓸 수 있는 단체 양식 파일, 자동문서 변환을 해주니 일 처리 속도도 빨라질 것 같네요.
1. 먼저 고용노동부 임금 명세서 만들기 사이트(https://moel.go.kr/wageCalMain.do)에 접속해주면 되는데요. 제가 링크 걸어드렸으니 누르셔서 바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2. 그러면 개별 작성, 일괄 작성 등 버튼을 누르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만약 직원 수가 몇 명 안 되는 작은 사업장이라면 개별 작성을, 직원 수가 많은 기업이라면 일괄 작성을 눌러 명세서를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 개별 작성 화면
- 근로자 1명의 명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 맞게 내용을 입력해주시면 되는데요. 필수로 된 항목들은 꼭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2. 다 적으셨다면 마지막에 임금 명세서 다운로드 버튼이 있는데요.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시면 pdf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바로 프린터로 인쇄하면 끝이죠.
* 일괄 작성 방법
- 한꺼번에 여러 명 명세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아까 홈 화면에서 일괄 작성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엑셀 서식 다운로드부터 먼저 하셔서 파일을 받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압축을 풀어주면 되는데요. 압축파일 안에는 임금 명세서 시급, 월급, 일급 3가지 파일이 들어가 있습니다.
2. 각 파일을 열어보면 이미지와 같이 엑셀 양식이 들어있는데요. 해당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조건에 맞게 알맞은 파일을 열어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맨 아래 하단의 탭에 보면 기본 항목, 지급 내역, 공제 내역, 계산법 등 입력하는 탭 란이 따로 있으니 잊지 말고 써주시고요.
3. 일괄 작성이 다 끝났다면 엑셀 파일 저장 잘 해주시고요. 아까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명세서 만들기 메인의 '엑셀 업로드'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그러면 알아서 자동으로 프린트할 수 있는 명세서 pdf 파일로 변환을 도와줍니다. 한 명 한 명 다 따로 만들 필요가 없으니 편하죠? pdf 파일들이 다 만들어졌으면 다운로드해서 한꺼번에 인쇄하시면 됩니다.
** 가이드 내려받는 법
작성하는 게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해당 홈페이지에서 '사용법이 궁금하다면?'을 눌러주시면 되는데요. 고용노동부에서 소개하는 작성 가이드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거기에 작성하는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께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된 부분과 양식, 작성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무료로 된 쉬운 명세서 양식, 작성 프로그램 찾고 계셨다면 고용노동부에서 만들어놓은 사이트 꼭 이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