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알림/민원정보

이력서 본적 모를때 확인하는 법 인터넷으로 쉽게

by ↑↑ 2022. 1. 17.
반응형

본적 확인법 썸네일
본적이 뭐지? 어떻게 조회할까?

이력서 본적 모를때 확인하는 법 알려 드리겠습니다. 취업할 때 기본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바로 이력서인데요. 본인의 인적 사항과 경력 내용이 들어가 기업이 채용하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됩니다. 하지만 그중에 '본적'을 쓰는 항목이 있다면 의미가 헷갈려 당황해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본적이란?

호적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한마디로 어디에서 출생했고, 거주하는지 해당 지역을 의미하는 거죠. 1960년부터 2007년 말까지 자주 쓰이는 말이었는데요. 현대에서는 이사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본가가 있는 곳'이나 '고향'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2008년부터는 호적제도가 없어져 '본적'은 '등록기준지'라는 단어로 대체되었습니다.

 

아직도 이력서에 드물게 존재하는 본적

2008년부터 호적제도가 폐지되며, 현재에는 기업 이력서에 해당 내용을 기재하는 칸은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몇몇 곳에서는 본적을 쓰는 이력서를 사용하고 있기도 하죠. 그럴 때면 아마 나의 본적은 어디인지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취준생, 초년생분들 많을 겁니다.

반응형

 

이력서 본적 모를때 확인하는 법

온라인으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시면 되는데요. 가족관계 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하시면 해당 서류에 등록기준지가 어디인지 주소가 나와 있습니다. 그 주소를 적으시면 됩니다.

 

인터넷 사용법이 익숙치 않아 어렵다고 생각되시면 제가 아래 포스팅한 글을 참고해주세요. 인터넷으로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발급받는 방법을 자세히 적어 드렸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조회, 출력 및 파일로 저장하는 법을 상세히 포스팅했으니 궁금하신 분들께 좋은 가이드 글이 될 것입니다.

 

 

▼▼ 본적(등록기준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글 참고 ▼▼

2022.01.12 - [정보알림/민원정보] - 가족관계증명서PDF 온라인 발급과 인쇄방법

 

 

 

이력서 본적 모를때 확인하는 법 이렇게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시대가 바뀌면서 사용하던 단어나 제도가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이전 세대의 영향으로 계속 쓰이는 단어들도 있기에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는 낯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포스팅한 글로 적게나마 도움되는 시간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