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쉽게 모바일로 딜리버리 주문을 할 수 있게 되면서, 편의점 배달도 찾으시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GS나 CU, 세븐일레븐 등은 따로 어플도 없고, 배달의 민족에도 서비스가 되지 않아 포기하시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 오늘은 쉽고 간단하게 편의점 딜리버리 이용하는 네 가지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1. 카카오톡 편>
(1) 카카오톡에 접속합니다.

카카오톡 앱에 들어가게 되면 하단 메뉴에 점 세 개로 된 설정 버튼이 있죠? 거기를 누르면 내 지갑 잔액과 카카오 페이 송금 버튼 등 여러 기능들을 익숙하게 봐오셨을 텐데요. 밑에 메뉴 중 <주문하기> 눌러주면 됩니다.
(2) CU 배달을 비롯해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딜리버리 가능합니다.


상단을 보면 전체, 치킨, 패스트푸드 등 여러 카테고리가 있는데요. 옆으로 넘기면 편의점/마트가 있답니다. 저길 누르면 내가 있는 곳 근처 위치에 있는 씨유, 지에스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다양한 지점들이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카드사 별로, 그리고 브랜드별로 할인해주는 금액도 다르니 참고하세요.
(3) 먹고 싶은 상품을 골라 장바구니에 넣은 후, 주소 입력 > 결제해주면 끝입니다.

기본적인 생필품부터 라면, 즉석식품, 냉장 식품 등 다양하게 주문할 수 있는데요. 잔여 재고량도 쓰여 있답니다. 편의점 가기엔 귀찮으신 분들께 강추드리는 방법입니다.
*브랜드, 지점별 최소 주문 금액과 배달비도 다르게 책정되어 있으니 미리 확인 후 주문하세요.
<2. 요기요 편>
(1) 먼저 요기요 어플을 실행해줍니다.
없으시다면 구글 스토어에서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카톡 말고도 요기요 앱으로도 주문이 가능한데요. 실행해주면 다음과 같은 홈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프랜차이즈 카테고리를 눌러주세요.
(2) 상단 메뉴에서 편의점/마트에 들어가세요.


그러면 이렇게 여러 브랜드 지점들이 뜨는 걸 볼 수가 있는데요. 역시나 다양한 상품들이 존재하며 즉석식품과 냉장, 생필품, 간식거리들 주문할 수 있습니다. 굉장히 쉽죠?
<3. 네이버 스마트 주문하기>
(1) 네이버 편의점 배달을 검색해줍니다.


그러면 집 근처에 딜리버리 가능한 지점들이 여러 곳 뜨게 되는데요.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미지를 보시는 것처럼 GS25, 세븐일레븐, CU 배달이라고 마크가 뜨는 것을 확인한 뒤에 원하는 곳을 눌러주면 됩니다.
(2) 배달 버튼을 누른 뒤에 쇼핑하세요. 장바구니 > 주소 입력> 결제 끝!



원하는 상품들을 골라 장바구니에 넣어준 뒤 최소 주문 금액 이상을 주문해주면 되는데요. 이용 방법은 간단한 편이지만, 단점은 품절 상태인지 기재가 안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도시락을 장바구니에 넣고 나서야 품절되었다고 알림이 뜨네요. 이 점 유의하셔서 고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서울에서만 가능한 배달의 민족 B마트>
(1) 다음은 배민 어플에서 주문하는 건데요. 이건 서울에 거주하시는 분들만 가능하며, 다른 지역은 서비스되지 않고 있습니다.

배민 앱에 들어가 준 후, 홈에서 B마트를 눌러주면 되는데요.
(2) 다양한 상품들이 존재합니다. 편하게 주문하세요.
배민 커넥트 분들이 가져다 주신답니다.

다만 여기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이마트24나 CU, 세븐일레븐, GS25 배달은 불가하기에, 오로지 자사의 비마트 상품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편의점에 없는 식품들을 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기존의 배민 어플을 쓰면 된다는 것이 편하게 느껴지는 듯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GS, 세븐일레븐, 이마트24, cu 편의점 배달시키는 방법 4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그동안 몰라서 이용 못 하고 계셨다면, 오늘 이 세가지 팁을 통해 주문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서울에서 지낼 땐 비마트를 써왔었는데요. 지금은 인천, 경기도 쪽에 거주하니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일 편한 것 같습니다.
일반 마트 당일 배송시키는 방법도 다음 포스팅에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